분류 전체보기100 타이거 미국 나스닥 100 레버리지 ETF를 적립식으로 투자 시작 자산이라고 불릴만한 것도 없고 주식의 주자도 몰라서 ETF에 투자 하기로 마음 먹었다. 그런데 욕심은 많아서 레버리지에 투자하기로 했다. 소득공제와 절세혜택을 위해 isa계좌와 연금저축 계좌를 만들고 4개월간의 퇴직금과 휴가비, 한달 월급을 합해 1,000만원을 매수했고 매달 월급날마다 150만원씩 적립식으로 투자해보고싶다.원칙:- 고정 지출, 비상금 제외 매달 정해진 날 150만원씩 시장가로 적립식 자동 매수연금저축펀드에 50만원 - 나스닥 100 ETFISA계좌에 100만원 - 나스닥 100 레버리지 ETF- 나머지 여웃돈이 생긴다면 ISA계좌 연 2,000만원 납입 한도 채우기- 절약을 생활화 해 아끼고 아껴서 한 주라도 더 모으기 2025. 2. 10. LNG선박의 생활 환경은 어떨까? 처음 승선을 하기까지 배에서의 생활은 어떤지 알수가 없었기 때문에 걱정을 많이 했다. 혹시 멀미는 안할지, 선원들이랑 잘 생활 할수 있을지, 배에서는 어떤 음식을 만드는지 같은 것들이다.외항 LNG선은 보통 10만톤 이상으로 크기가 어마어마하다. 웬만한 파도에는 크게 흔들리지 않아서 배멀미는 하지 않았다.LNG선은 상륙이 불가능하지만 가끔 이렇게 상륙을 나갈수있다.주방의 모습이다. 배에서는 화재의 위험이 있기때문에 육상과 다르게 가스렌지를 쓸수 없어서 선박용 핫플레이트를 쓴다. 처음 승선해서 가장 놀랐던 부분이다. 불이 많이 약하기때문에 적응하기까지 한참 걸렸다.식당은 사관(해기사)식당과 부원 식당으로 나눠져 있다. 설거지를 하는 공간이다.화장실 사진이다. 웬만한 원룸 화장실 보다 좋다.처음 승선할때 한.. 2025. 2. 8. 휴일이 없는 LNG 선박 조리원의 하루 일과 조리원의 하루 일과05:30~07:30 재료 준비 및 아침 일과07:30~09:30 휴식09:30~12:00 점심식사 준비12:00~13:00 점심식사13:00~15:00 휴식15:00~17:00 저녁식사 준비17:00~18:00 저녁식사18:00~05:30 휴식 보통 위와 같이 하루를 보낸다. 당연하게도 휴일이나 공휴일, 명절에도 밥을 먹어야 하기때문에 선박 조리사는 쉬는날이 없다. 갑판부와 기관부 등 다른 부서는 토요일 오전까지 근무 후 일요일, 법정 공휴일, 명절은 전부다 쉬지만 사주부는 승선하면 하선할때까지 쉬는날 없이 일을 해야한다. 외항 LNG의 경우 승조 인원이 30명 내외이고 내항 LNG는 20명 내외이다. 때문에 외항은 3명(조리장, 조리수, 조리원), 내항은 2명(조리장, 조리원)이 일.. 2025. 2. 8. LNG 내항상선 계약직 조리원 급여 내항 조리원의 경우 월 급여는 많지 않다. 왜냐하면 조리원, 조리수, 조리장 중 가장 말단인 조리원 한달 급여가 세전 410 만원 정도로 너무 적고 외항선의 500만원 비과세 혜택이 없기때문에 소득세와 건강보험을 전부 공제하기 때문이다.(내항선의 경우는 20만원 비과세 적용) 그래서 외항선 조리원과 월급이 같아도 한달에 세후 40만원정도 차이가 나게 된다. 계약직 선원은 승선할때 회사와 계약을 하고 하선과 동시에 계약 종료가 된다. 따라서 회사의 계약종료에 의한 비자발적 퇴사이기 때문에 승선 6개월(근무일수 180일 이상)이 넘으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하다. 중요한 점은 한번에 꼭 6개월 승선을 안해도되고 4개월 승선후 휴가를 다녀와서 2개월 승선했다면 합산해서 승선 일수가 180일이 넘기때문에 실업급여.. 2025. 2. 8. 이전 1 2 3 4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