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2023년 6월부터 시행하는 청년우대 적금입니다. 만기 5년,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이자 외에 정부 보조금과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월 2만 1천 원에서 최대 2만 4천 원까지 받을 수 있고, 월 70만원씩 내면 만기시 5천만 원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누구에게 혜택을주나요?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군 입대기간은 뺌(최대 6년)
개인소득 연 6천만 원 이하
중위소득 180% 이내 (1인가구 350만 원, 2인 586만 원, 3인 755만 원, 4인 921만 원...)

그래서 정부에서 얼마를 더 준다는 건가요?
이자를 제외하고 월 2만 1천 원~2만 4천 원씩 더 줍니다.

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총소득 2,400만 원 이하 청년이라면 월 40만 원씩만 부어도 월 24,000원씩 받을 수 있습니다.
3,600만원 이하는 50만원 이상 부으면 23,000원,
4,800만원 이하는 60만원 이상 부으면 22,000원,
6,000만원 이하는 70만원씩 부으면 21,000원.
만기는 몇 년인가요?
5년.
언제부터 가입할 수 있나요?
2023년 6월 부터 가입신청을 받습니다.
어디서 가입하나요?
자세한 금융기관은 아직 확정 안됨.
가입 후 소득이 오르면 어떻게 되나요?
1년마다 심사 후 총소득 6천만 원이 초과되면 지급중단.
꼭 매월 70만 원씩 꼬박꼬박 납입해야 되나요?
아니요.
가입 첫 달 70만 원을 내면 다음 달에는 1만 원만 내도 유지되지만 월 납입금에 비례해서 지급 됩니다. 때문에 위 표를 참고해 한도 내에서 모두 납입하는 게 유리합니다.
5년 만기를 못 채우고 해지하면 혜택을 못 받나요?
네.
다만 다음의 특별 해지 사유일 경우 혜택 받을수 있습니다.
- 가입자의 사망이나 해외이주
- 퇴직
- 사업장 폐업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생애 첫 주택 구입시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으로 가입할 수 있나요?
아니요.
금리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2022년 청년희망적금이 연 6%대였습니다.
그래서 가입하는게 이득인가요?
금리가 6% 이상이면 무조건 가입하는게 이득입니다. 6.15%이상일 시 60개월 총 656만 5124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거기에 정부 보조금 144만원 (4만 2천원 x 60 개월)을 받고, 15.4% 비과세 혜택도 있기때문에 총 5천만원이 넘게됩니다. 사실 15%의 세금을 안내도 되기때문에 이것 만으로도 시중 은행 적금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지금 적금 금리가 3~4%대인데 만일 6%대로 출시가 된다면 당연히 가입하는게 이득입니다.
주의할 점은 총 5년동안 빼먹지 않고 내야 한다는것입니다. 만기가 길다는건 유지를 못하고 해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말과 같습니다. 무턱대고 계좌를 만들었는데 해지하면 보조금과 세금을 전부다 토해내야하기때문입니다. 하지만 미리 본인의 씀씀이를 확인해서 조건에 맞고 잘 관리할 수만 있다면 가입하는게 이득인 건 확실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넘 효과의 뜻과 유래 (0) | 2023.04.13 |
---|---|
야경증의 증상과 특징 해결법 (0) | 2023.04.13 |
플라시보 효과 뜻, 사례들 (0) | 2023.04.12 |
비대면으로 집에서 스마트폰으로 자녀 계좌 만들기 (0) | 2023.04.10 |
인천 버스, 지하철 요금 2023년 8월 300원씩 오를예정 (0) | 2023.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