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을 우 + 사람 공 + 옮길 이 + 뫼 산
우공이 산을 옮긴다.
남이 보기에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춘추 시대의 사상가 열자의 문인들이 열자의 철학 사상을 기술한 열자 탕문편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태형산과 왕옥산은 사방이 700리에 높이가 1만 길이나 되는 큰 산입니다. 두 산은 지금과 다른 곳에 있었는데 기주 남쪽과 하양의 북쪽 사이에 있었습니다.
북산에 나이가 이미 90세가 다 된 우공이라는 사람은 이 두 산이 마주보이는 곳에 살았습니다. 하지만 두 산이 북쪽을 가로막은 탓에 길을 오가려면 돌아가야 해서 몹시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우공은 온 집안사람들을 모아놓고 말했습니다.
"너희들과 힘을 모아 저 산을 평지로 만들고 싶구나. 저 험한 산만 없애면 예주 남쪽으로 곧장 길이 통하고 한수의 남쪽으로 이를 수 있는데 너희들 생각은 어떠냐"
모두 좋다고 찬성했지만 오직 우공의 아내만이 핀잔을 주었습니다. "당신 나이가 얼마인지 아시오? 당신 힘으로는 작은 언덕하나도 깎지 못할 텐데 태형산이나 왕옥산 같이 큰 산을 어찌 감당하겠소? 게다가 산에서 파낸 흙이나 돌은 어디다 버린단 말이오?"
그러자 모두 입을 모아 말했습니다. "그건 걱정하지 마십시오. 발해바다 끝머리에 버리면 됩니다" 이리하여 우공은 세 아들과 손자들을 데리고 산의 돌을 깨고 흙을 파냈습니다. 그러고는 삼태기에 담아 발해바다 끝머리로 날랐습니다. 이웃에 사는 과부댁 경성 씨도 8살인 어린 아들을 보내 그 일을 도왔습니다. 하지만 발해바다까지 거리가 멀어 겨울과 여름이 바뀌는 동안 겨우 한번 오갈 수 있었습니다.
황하강기슭에 사는 늙은이가 이를 보고 비웃었습니다. "그대는 참으로 어리석은 사람이오. 앞날이 얼마 남지 않은 그대의 힘으로는 산의 풀 한 포기도 없애기 어려울 텐데 그 많은 흙과 돌을 어찌할 생각이오?"
우공이 이 말을 듣고 크게 한숨 쉬며 답했습니다. "허허 생각이 꽉 막힌 사람이로다. 그대가 지혜롭다고 하나 내가 보기에 과부댁 어린 아이만도 못하구려. 앞날이 얼마 남지 않은 내가 죽더라도 자식이 남아있어 그 자식이 손자를 낳고 손자가 또 자식을 낳으며 그 자식은 또 자식을 낳아서 자자손손 끊이질 않을 것이오. 하지만 산은 아무리 커도 더 늘어나지 않으니 언젠가 산이 깎여 평지가 될 날이 오지 않겠소?"
황하의 늙은이는 더 대꾸할 말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산에 사는 신령들은 그 말에 놀라고 말았습니다. 돌과 흙을 파내는 일이 계속 이어지면 언젠간 산이 없어질 테고 산신령들도 머물 곳이 없어지니 큰일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옥황상제에게 이일을 어찌하면 좋을지 물었습니다. 옥황상제는 그 말을 듣고 우공의 정성에 감동했습니다. 그리하여 하늘나라에서 가장 힘센 두 신에게 산을 등에 지게 해 하나는 삭동땅으로, 다른 하나는 옹남땅으로 옮겨 놓았습니다. 그 후부터 그곳 주위에는 낮은 언덕조차 보이지 않았습니다.
어리석은 우공이 옥황상제를 감동시켜 끝내 산을 옮겼듯 무슨 일이든 우직하고 뚝심 있게 밀고 나가면 못할 게 없다는 뜻입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 우보만리[牛步萬里]:
-소 우 + 걸음 보 + 일만 만 + 마을 리
-소처럼 천천히 걸어 만리를 간다.
- 노마십가[駑馬十駕]:
-둔한 말 노 + 말 마 + 열 십 + 멍에 가
-둔한 말이 열흘 동안 수레를 끌고 다닌다.
-재주 없는 사람이라도 열심히 노력하면 훌륭한 사람에 미칠 수 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체유심조 뜻 (1) | 2023.04.19 |
---|---|
와신상담 뜻과 유래 (1) | 2023.04.16 |
지록위마 뜻과 유래 (0) | 2023.04.14 |
읍참마속 뜻과 유래 (0) | 2023.04.14 |
인생사 새옹지마… 뜻과 유래 (0) | 2023.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