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록위마[指鹿爲馬]
손가락 지 + 사슴 록 + 할 위 + 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
남을 속이려고 옮고 그름을 바꾼다.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만들어 강압으로 인정하게 한다.
윗사람을 속이고 농락하다.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른 진나라 환관 조고의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권세와 영화를 몽땅 누린 진시황이 죽었습니다. 간신 조고는 승상 이사와 짜고 책략으로 큰아들 부소를 죽게 만들고 나이 어린 막내아들 호해를 황제자리에 앉힌다음 권력을 장악합니다. 아직 철들지 않은 어린 황제는 자기 아버지를 닮았던지 천하의 쾌락이란 쾌락은 모두 누리면서 생애를 마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진 위인이었습니다.
조고는 커다란 야심을 품었던지라 이처럼 어리석은 황제를 교묘히 조종하여 방해물로 생각되는 중신과 장수들을 모조리 죽였습니다. 승상이던 이사마저 내쫗고 승상 자리에 앉는 한편 스스로 황제가 되려는 야심을 키우고 있었습니다.
어느날 자신의 말을 따르지 않는 중신들을 가려내기 위해 황제에게 사슴 한 마리를 바치면서 말했습니다.
"말을 바치옵니다"
그러자 황제는 웃으면서 말했습니다.
"승상은 괴이한 소리를 하는군. 사슴을 말이라고 하다니.. 이게 대체 사슴이오. 말이오?"
그리고는 신하들을 둘러보았습니다. 조고의 위세를 두려워하고있던 신하들은 잠자코 있는가 하면 말이라고 대답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말이 아니고 사슴이라고 하는 자도 있었습니다. 조고는 사슴이라고 말한 자들의 얼굴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가 죄를 뒤집어씌워 죽여버렸습니다. 그 이후로 조고의 말에 감히 토를 달거나 반대하는 사람을 찾아볼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호해는 어리석고 무능한 황제였으므로 그의 사치에 백성들의 민심이 나빠졌습니다. 진나라는 큰 혼란에 빠졌지만 조고는 호해가 이 사실을 알지 못하도록 숨겼습니다. 조고는 결국 사위 염락을 시켜 호해를 암살하고 부소의 아들 자영을 황제자리에 앉히려했습니다. 그러나 꼬리가 길면 밟히듯 조고는 끝내 자영의 부하 한담에게 죽임을 당하고 삼족이 멸하게됩니다.
그후 자영은 유방에게 항복했지만 항우는 진나라 왕족을 전부 멸하게됩니다. 이렇듯 조고가 황제를 농락하고 권력을 잡기위해 사슴을 말이라고 하는 상황을 가리켜 지록위마라는 고사성어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체유심조 뜻 (1) | 2023.04.19 |
---|---|
와신상담 뜻과 유래 (1) | 2023.04.16 |
읍참마속 뜻과 유래 (0) | 2023.04.14 |
우공이산 뜻과 유래 (0) | 2023.04.14 |
인생사 새옹지마… 뜻과 유래 (0) | 2023.04.12 |
댓글